김병수 | - 슬로푸드 국제본부 이사
- 슬로푸드문화원 정책위원장
- 유기농 농부 - 딸기, 유정란 등 생산
- 팔당올가닉푸드 대표 - 친환경 가공식품 생산
- 1987년부터 기독교농민회, 한살림, 정농회 등의 활동을 통하여 유기농업, 공동체 운동을 해옴
- 1991년에는 지역의 유기농가들과 함께 팔당상수원 유기농업 운동본부(현, 팔당생명살림)을 창립
- 1999년 팔당생협 창립 주도
- 2004년 친환경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농업회사 팔당올가닉푸드를 창립
- 공동체 운동에 대한 관심으로 2년 6개월간 21개국 38개의 공동체마을을 탐방하였으며,
여행기 <사람에게 가는 길>을 출간
|
김준 | - 전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 어촌사회를 연구하고, 20년이 넘도록 갯벌과 섬을 다니면서 어민을 만나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 바다와 인간의 오래도록 지속된 인연을 찾고 있음
어민들로 부터 얻은 지혜를 도시민들과 나누기 위해 섬과 바다와 갯벌을 소재로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고 있음 - 저서 : <바다맛 기행>, <섬 문화 답사기>, <김준의 갯벌 이야기>, <다도해 사람들> 등
|
박성자 | - 슬로푸드문화원의 부이사장
- 슬로푸드문화원 초대 사무총장겸 상임이사
- 한국의 농업발전을 위해 여성농민운동가로서 40여년 동안 조직활동, 교육활동 해옴
- 중앙부처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초대 여성정책담당관으로 농촌여성정책과 농촌복지정책을 담당하여, 농업에 종사하거나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현재 슬로푸드생물다양성 재단 설립을 준비중
|
박종숙 | - 요리연구가
- 경기음식연구원장
- 전통장 아카데미를 운영
- 궁중음식연구원, 한국의 맛 연구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을 연구하였고, 널리 알리는 데에도 누구보다 앞장서고 있다.
- 블로그 '박종숙 손맛작업실' 운영
- 유명 잡지 요리 칼럼과 TV 요리 프로그램, 대학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전통, 향토 음식을 알리기 위해 노력
- 저서 : <반찬, 밑반찬의 기본>, <박종숙의 아침 밥상>, <박종숙의 저녁 밥상>, <전통향토음식 서울, 경기도편> 등 음식 관련 책자를 다수 발간
|
양경식 | - 제주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연구원
- 서식지외보전기관 유치 등 멸종위기 곤충 보전체계 구축 기여
-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운영
- 한라산 멸종위기종 조사 및 동물다양성 분석․연구
- 제주도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이행여부 조사 확인을 통해 개발사업에 따른 서식생물들의 피해 최소화시키는 데에 공헌
|
윤성희 | - (사)흙살림 토종연구소((Heuksalim native seed institute) 소장
- 대학원에서 작물학(Field crop)을 전공하고 유기농업연구가, 토종종자연구가로 20년간 한국의 유기농업 기술연구 및 보급운동을 해오고 있음
- 20년간 30,000만여명의 농민을 대상으로 유기농업을 교육
- 흙살림의 유기농업 인증팀장을 맡아 한국내 유기농업 인증이 정착되도록 일해옴.
- 2010년에는 미얀마의 유기인증심사원 트레이너로 활동
- 2011년에는 유기종자를 주제로한 IFOAM pre-conference의 진행을 맡기도 하였다.
- 저서 : <유기농업자재의 이론과 실제>, <이땅에서 농업을 하는 이유> 등
|
이욱정 | - 음식, 요리 전문 PD
- 요리 다큐 <요리 인류>를 준비중.
-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7부작 다큐멘터리 <누들로드>를 통하여 세계 각국의 면 요리에 담긴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다룸
- 요리 프로그램에 대한 열정으로 런던의 르 코르동 블루 졸업
- 전문 요리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쿠킹 스튜디오 오픈
- 저서 : <쿡쿡> - 요리학교와 영국의 요리프로그램, 스타 셰프들, 한식의 문제 등에 대해 다룸
|
이석영 | -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자원관리팀 팀장
- 1993년 8월 농촌진흥청에 입사
- 농촌진흥청에서 농업유전자원 수집, 증식, 특성평가, 보존 및 국제협력업무를 수행해옴
- 2003년~2005년 국제식물유전자원연구소(현 "국제생물다양성연구소") 상주연구원으로 근무
- 국내 유전자원 안전보존 및 ‘세계종자안전중복보존소’ 운영,
- 개발도상국의 유전자원관리 전문가를 길러내는 국제훈련 프로그램 운영
|